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-3주차 파이썬 기초공부-

파이썬은 다른 언어들보다 더 직관적이다. 기본문법을 살펴보자.

 

<변수선언>

a = 2
b = 3

print(a+b)

변수 선언시 let 도 쓰지 않는다.

Error 보는 꿀팁!= 마지막 줄만 읽어라 그 다음에 그 전 줄을 읽어라.  -> 그리고 구글링하고 에러 파악

구글링 후 에러 확인 : 파이썬은 문자열과 숫자를 조합 할 수 없구나!

 

first_name = 'dongin'
num = str(2)

print(first_name+num)

문자열과 숫자를 조합하려면 이런식으로 해결!(string의 약자인듯) 혹시나 해서 '2'로 바꿔봣는데 역시 문제 없었다.

 

자료형 리스트

a_list = ['사과','배','감']

print(a_list[0]) //a_list의 0번째 호출
a_list = ['사과','배','감']
a_list.appned('수박')      // list추가 코드
print(a_list[0]) //a_list의 0번째 호출

(let 이 없는게 약간 어색하다..)

 

자료형 딕셔너리

a_dict = {'name':'bob', 'age':27}

print(a_dict['name'])  //bob이 호출됨
a_dict = {'name':'bob', 'age':27}

a_dict['height'] = 178 //height 추가

print(a_dict)

엥? 근데 파이썬은 주석을 달면 error가 난다..?

 

<함수> 함수코드는 function이 아닌 def인듯 하다.

def sum(num1,num2):               //sum으로 num1,num2를 받는 함수를 만듬
    return num1+num2             // 두 값의 합을 return 해준다.

result =sum(2,3)

print(result)

파이썬은 중괄호가 없다;;; 중괄호 대신 : 을써주면 그 밑으로 식을 넣게끔 줄이 맞춰진다.

def sum(num1,num2):
    print('안녕!')               // 안녕이 먼저 찍힘
    return num1+num2             // 두 값의 합을 return 해준다.

result =sum(2,3)

print(result)

 

<조건문>

age = 25

if age > 5:
    print('성인입니다')
else:
    print('청소년입니다')

결과값: 성인입니다

 

<함수+조건문>

def is_adult(age):
    if age > 20:
        print('성인입니다')
    else:
        print('청소년입니다')

is_adult(30)
is_adult(15)

결과값: 성인입니다 청소년입니다

 

<반복문 +리스트>

fruits = ['사과','배','배','감','수박','귤','딸기','사과','배','수박']

for ff in fruits:
    print(ff)

사과



수박

딸기
사과

수박 

 

파이썬에서 for문은 리스트를 하나씩 뺴오는 식이다. 그러므로 모든 리스트가 빠지면 for문이 반복되지 않고 끝남

 

fruits = ['사과','배','배','감','수박','귤','딸기','사과','배','수박']

count = 0
for ff in fruits:
    if ff == '수박':
        count += 1

print(count)

수박을 만날때마다 카운트가 올라감

결과값=2

 

<반복문+딕셔너리>

people = [{'name': 'bob', 'age': 20},
          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          {'name': 'john', 'age': 7},
          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          {'name': 'ben', 'age': 27}]

for person in people:
    print(person['name'],person['age'])

결과값: bob 20 carry 38 john 7 smith 17 ben 27

 

<if문 응용>

people = [{'name': 'bob', 'age': 20},
          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          {'name': 'john', 'age': 7},
          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          {'name': 'ben', 'age': 27}]

for person in people:
    if person['age'] <20:
        print(person)

결과값:  'name': 'John', 'age': 7 'name': 'Smith', 'age': 17 

 

 

 

파이썬은 직관적이라 비교적 이해가 조금 더 쉬웠다.